광고의 보이지 않는 장벽: 사용자가 광고를 외면하는 이유

Bluemone
April 30, 2024

우리는 언제부터 자연스럽게 광고를 무시하게 됐을까?
각종 광고에 둘러싸인 사용자들은 어느샌가부터 자동적으로 광고를 무시하게 되었다. 사용자들이 웹 페이지나 앱에서 자주 접하는 광고를 본능적으로 무시하는 이러한 현상을 배너무시현상(Banner Blindness)이라고 부른다.

배너무시현상의 예시

예시 1: 웹사이트 배너 광고

일반적인 웹사이트에서 볼 수 있는 배너 광고는 배너 무시 현상의 전형적인 예이다.
사용자들은 오랜 시간 동안 배너 광고에 노출되면서, 페이지의 실제 콘텐츠 부분만을 집중적으로 본다. 이로 인해 배너 광고의 클릭률은 점점 더 낮아지게 되었다.

예시 2: 소셜 미디어 광고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도 광고 맹목 현상은 두드러진다. 많은 사용자들이 피드를 스크롤할 때 광고를 쉽게 건너뛰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시 3: 비디오 광고

유튜브와 같은 비디오 플랫폼에서 자동으로 재생되는 비디오 광고는 또 다른 예이다. 많은 사용자가 광고가 시작되자마자 스킵 버튼을 찾는다.

배너 무시 현상을 극복한 사례

1. 네이티브 광고의 힘: BuzzFeed

BuzzFeed는 콘텐츠 마케팅과 네이티브 광고를 통해 광고 맹목 현상을 효과적으로 극복했다. 기사와 유사한 형식으로 광고를 제작하여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콘텐츠의 일부로 받아들이도록 하는 접근 방식으로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하고, 전통적인 배너 광고보다 훨씬 높은 클릭률을 달성했다.

native ad | Ewha [Brand Communication]

2. 데이터 기반의 맞춤 광고: Amazon

Amazon은 사용자의 구매 이력과 검색 패턴을 분석하여 개인화된 광고를 제공함으로써 배너 무시 현상을 극복했다. 이러한 맞춤형 광고는 사용자에게 더욱 관련성이 높으며, 전통적인 광고 방식보다 더 높은 전환율을 보여준다.

배너 무시 현상을 극복하는 이러한 사례들은 광고가 단순히 시각적인 요소에만 의존하지 않고, 심리적, 감성적, 윤리적 접근을 통해 소비자와의 깊은 연결을 만들어낼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전략들은 광고를 통한 실질적인 소통을 가능하게 하며, 브랜드와 소비자 사이의 의미 있는 관계를 구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전 포스트가 없습니다.
목록으로 돌아가기
다음 포스트가 없습니다.
목록으로 돌아가기